-
성인 야간뇨 원인, 검사, 치료 (성인 야뇨증)일반비뇨의학 2023. 4. 11. 10:20
수면 중에 소변을 보기 위해 잠에서 깨서 화장실에 가는 것을 야간뇨라고 합니다.
(흔히들 성인 야뇨증이라고도 부릅니다만, 엄밀히 말하면 야뇨증은 자다가 본인도 모르게 소변을 싸는 것을 뜻합니다.)
야간에 소변 때문에 깨는 것은 무척이나 괴로운 증상으로, 사람들의 잠을 설치게 만드는 대표적인 원인입니다. 수면 중간에 깨게 되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낮시간에 피로가 심해집니다. 뿐만 아니라 야간뇨는 넘어짐, 부상 및 골절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야간뇨 자체만으로도 사망률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합니다.
야간뇨의 기준은 학회나 연구자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보통 하룻밤에 2회 이상 소변을 보기 위해 잠에서 깨는 경우를 야간뇨로 봅니다.
야간뇨는 나이에 따라 빈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여서, 많게는 노인들의 80~90%가 야간뇨 증상을 호소하는 것으로 보고하기도 합니다.
야간뇨 원인, 검사, 치료 (성인 야뇨증)야간뇨 원인
- 방광용적 감소
방광은 신장에서 만들어진 소변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기관으로, 이 방광의 용적이 작아지면 소변이 조금만 차도 소변이 마려워지기 때문에 소변을 자주 보게 됩니다 .
전립선 비대증, 과민성 방광, 요로감염, 방광결석, 방광암 등이 이러한 상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소변 생성량 증가
당뇨, 요붕증, 원발성 다음증 등이 있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소변 생성량이 늘면서 소변도 더 자주 보게 되고 따라서 야간에도 소변 때문에 잠에서 깨게 되기도 합니다.
야간 혹은 수면 중의 소변량 증가로 인해 화장실에 자주 가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나이가 들면 1) 신장의 소변 농축 능력이 감소하고, 2) 심방 나트륨이뇨 펩티드 분비가 증가하며, 3) 항이뇨호르몬 분비 및 민감도가 감소합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노인들은 젊은이들에 비해 야간 소변량이 많아집니다. 나이 말고도 과도한 코골이를 일으키는 야간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에도 심방 나트륨이뇨 펩티드 분비가 증가하여 야간 소변량이 많아집니다.- 수면 장애
간혹, 야간뇨가 수면장애의 원인이 아니라, 수면 장애로 인해 야간에 소변을 자주 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야간뇨 검사야간뇨를 제대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야간뇨의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 장애는 없는지, 실제 배뇨량과 배뇨 횟수는 어떤지, 다른 기저질환은 없는지 면밀히 살펴보아야 합니다. 또한 야간뇨가 수면의 질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도 함께 파악해야 합니다.
또한 소변 검사를 통해 염증 여부나 소변의 비중, 혈뇨, 단백뇨 등의 이상소견을 발견해 내고, 배뇨일지 작성을 통해 실제 배뇨양상을 파악해야 합니다. 피검사를 통해 신장기능과 전해질 수준도 함께 파악하는 것이 좋습니다. 남성의 경우에는 전립선 질환 여부나 코골이 여부에 대해서도 확인하여야 합니다.
기초 병력 및 검사에서 이상소견이 발견되면 정밀 검사를 시행하기도 합니다.
배뇨일지는 야간뇨를 평가하는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야간뇨 치료야간뇨의 치료 원인에 달라집니다. 당뇨나 요붕증 등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기저질환을 치료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에도 치료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립선 비대증이나 배뇨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적극적으로 치료합니다. 수면장애로 인해 야간뇨가 유발되는 경우에는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한 조취를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야간에는 수분 섭취를 줄입니다. 밤에는 물이나 음료뿐만 아니라 수분 함량이 많은 과일 섭취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면에 방해가 되는 카페인, 음주 등도 제한합니다. 잠자리에 들기 전에 화장실에 먼저 다녀오도록 합니다. 야간뇨의 치료에 있어서 생활 습관 개선은 부작용 적고 가장 먼저 시도되어야 하는 치료법이지만, 효과는 크게 뚜렷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방광 용적이 작아진 경우에는 방광의 민감성을 줄이고 방광을 안정시키는 계열의 약제를 사용합니다. 여기에 해당되는 약제로는 항무스카린제, 베타3 항진제 등이 있습니다.
야간 소변량 증가로 인한 야간뇨의 경우에는 소변 농축 기능을 조절하는 약제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약제로는 데스모프레신 성분의 약제가 있습니다.'일반비뇨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질성 방광염 원인, 증상, 검사, 치료- 방광 통증 증후군 (0) 2023.04.13 요도 작열감 원인, 오줌 눌 때 요도 타는 느낌 (0) 2023.04.11 방광암 증상, 검사, 병기, 치료 (0) 2023.04.07 신장 낭종, 신장 물혹, 콩팥 물혹 (2) 2023.04.07 방광암의 전립선 침범 (0) 2023.04.02